많은 사람들이 위로를 받았다고 하여 + 카라타 에리카가 너무 예뻐서 픽.

스스로를 사랑하지 않는다 해도, 살아가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으니까.

영화는 매우 단순하고 직설적인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한다.
그깟 직장 관두어도 괜찮아, 모든 사람이 옳은 길을 선택하고 있지는 않아, 이렇게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해, 살아나가고 있는 것 만으로도 기특해.

마음의 벽을 잠시나마 허물고 털어놓을 수 있다는 것,  그 순간에나마 공감하고 진심어린 위로를 건네줄 사람이 있다는 것.. 이 물론 중요하지만,

사실 이 영화에 대한 감상평을 굳이 남기는 이유는 내가 더 이상 이 메시지들에 공감이 가지 않아서.  직장 관두고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 하는 삶만으로 괜찮을 리가 없잖아, 취업해서 빠진 동료 알바생 자리 계속 땜빵해줄 성실함이면 새로운 직장 찾을 수 있잖아, 모든 사람은 아니어도 많은 사람들이 제대로 된 길로 나아가고 있잖아,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을 하더라도 더 나은 직장으로 할 수도 있잖아, 이 삶을 그만 둘 용기도 없으니 그냥 하루하루 되는대로 살아가는게 뭐가 기특해.. 라는 생각이 들어서.  울긴 왜 울어.  울고 난 후의 후련함에 기댄다고 해결되는 것은 하나도 없는 걸.

그냥 현실로 닥친 문제(내년에 찾아올 거대한 폭풍우 포함)들이 잔뜩 쌓여 있는데 뭐 하나 해결하지도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하는 스스로의 모습이 별로인지라.. 이런 류의 위로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임을 잘 알아서 전혀 몰입이 되지 않았나 보다.  그저 20대 중반 여자애의 예쁜 브이로그를 한편 본 느낌.

맞아 어쩌면 그 나이 때는 그 정도로 충분할 수 있어.  하지만 그런 날들이 쌓이면 사람들이 차마 위로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는 걸.  아 맥주+호로요이 한캔 먹었을 뿐인데 유난히 생각이 번진다.  3연휴를 맞이해 맥주 한잔 마시면서 가벼운 영화 한편 보고 잘 심산이었는데, 여기서 혼술은 절대로 피해야 하는구나 라는 교훈만 다시 얻고 간다.

위로가 아닌 공허만이 남아버린 영화.

+ 영화의 만듬새 면에서도 강하게 추천할 수준은 아님.

,